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025년 4월 주택통계, 서울 아파트 착공 240% 증가! 2025년 4월 주택시장에 무슨 일이?

by 백억투자 2025. 5. 30.
2025년 4월 주택 통계 완벽 정리

2025년 4월 주택 통계 요약

2025년 4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는 주택시장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를 제시합니다. 전국 주택건설 실적과 거래량, 미분양 주택의 변화 추이 등을 포함하며, 이번 자료는 2025년 3월 및 전년 동기와의 비교를 통해 변화 흐름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글은 해당 보도자료를 기반으로 주요 통계를 항목별로 상세하게 정리하였습니다.


① 인허가 실적

2025년 4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24,026호로, 전월 대비 22.6% 감소하였고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했습니다. 아파트는 21,129호(전월 대비 △23.7%), 비아파트는 2,897호(△13.7%)였습니다.

수도권은 14,261호로 전월 대비 5.8%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26.5% 증가했습니다. 서울은 1,821호로 전년 동월 대비 173.4% 증가한 반면, 지방은 9,765호로 전월 대비 38.5%, 전년 동월 대비 24.5% 각각 감소했습니다.


② 착공 실적

착공 실적은 총 25,044호로 전월보다 81.8%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19.6% 감소했습니다. 이 중 아파트는 21,459호(전월 대비 96.9% 증가), 비아파트는 3,585호(24.7% 증가)였습니다.

수도권은 18,352호로 전월 대비 97.9% 증가했고, 서울은 3,692호로 전년 동월 대비 240.6%, 전월 대비 133.5% 증가했습니다. 지방은 6,692호로 전년 동월 대비 54.6% 감소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③ 분양 승인 실적

분양 승인 실적은 20,214호로 전월 대비 133.8%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27.7% 감소했습니다. 수도권은 16,628호로 전월보다 606.1% 급증한 반면, 지방은 3,586호로 43.0% 감소했습니다.

유형별로는 일반분양이 15,438호, 임대주택 717호, 조합원분 4,059호로 각각 전월 대비 102.0%, 478.2%, 362.3%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각각 37.6%, 72.3%, 43.1% 감소했습니다.


④ 준공 실적

준공 실적은 전국 기준 35,107호로 전월 대비 34.4%, 전년 동월 대비 16.0% 증가했습니다. 이 중 아파트는 32,949호(37.6% 증가), 비아파트는 2,158호(1.2% 감소)였습니다.

서울은 8,575호로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365.8% 증가했고, 수도권 전체는 18,603호(5.7% 증가), 지방은 16,504호(93.8% 증가)로 집계됐습니다.


⑤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

2025년 4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5,42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4%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은 33,820건으로 24.7% 증가했고, 서울은 12,017건으로 52.2% 상승했습니다.

아파트 매매는 50,693건으로 전월 대비 5.2%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보다는 14.9% 증가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8,02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65.9% 급증했습니다.

전월세 거래량은 총 228,531건으로 전월 대비 4.4%, 전년 동월 대비 6.9% 감소했습니다. 이 중 전세는 91,826건, 월세는 136,705건으로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전월세 중 월세 거래 비중은 59.8%로 전년보다 2.2%p 상승했습니다.


⑥ 미분양 주택 현황

2025년 4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전국 67,793호로 전월보다 1.6% 감소했습니다. 수도권은 15,905호로 3.8% 감소했고, 지방은 51,888호로 1.0% 감소했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총 26,422호로 전월 대비 5.2%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은 4,525호, 지방은 21,897호로 전체 준공 후 미분양의 약 83%가 지방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면적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가 57,735호로 전체 미분양의 85.2%를 차지했으며, 이 중 60㎡ 이하는 36,612호(54.0%)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경북(12,107호), 경남(7,668호), 충남(6,911호) 순으로 많았습니다.


출처: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