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권원 2

임의경매와 강제경매

채무자가 채권 변제기가 도래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변제를 하지 않을 경우 집행권원이 있는 채권자 혹은 담보물권자가 채권 회수를 목적으로 법원에 채무자의 부동산에 대하여 매각을 신청하는 경우에 채권의 성격에 따라서 경매는 임의경매 혹은 강제경매로 분류된다. 임의경매는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를 말한다. 즉 채무자가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은행에서는 해당 부동산을 담보로 하여 돈을 빌려주면서 해당 부동산에 저당권이나 근저당권을 설정하게 되고 채무자의 채무 불이행으로 인해 은행인 채권자가 채권회수를 할 때 법원에 경매를 신청해서 채권회수를 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3개월 이자가 연체되면 은행에서는 해당 채권을 부실채권으로 분류하고 채무자의 부동산에 대해서 임의경매를 신청하게 된다. 임의경매는 전세권에 의해서도 실..

리뷰/카페후기 2024.10.30

부동산경매 용어 익히기

우리가 새로운 무엇인가를 배울때는 해당 분야에 용어부터 알아야 한다.그들만이 사용하는 언어를 모르고서는 개념 파악이 안되고 개념파악이 안되면 깊이 있는 공부를 하기 어렵다.  부동산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공부할 때도 민법이든 학개론이든 공법이든 해당 분야의 용어부터 배우게 된다. 따라서 이번시간에는 부동산경매의 용어에 대해 정리해본다. - 채무자 : 돈을 빌린 사람 (의무)- 채권자 : 돈을 빌려준 사람 (권리)- 배당 : 채권자의 만족을 위해 공권력에 의해 채무자의 부동산을 강제 매각해서 해당 매각대금에서 각  채권자에게 평등하게 또는 등기 순위에 따라 매각대금을 나눠주는 것- 집행권원 : 강제집행을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공정증서, 판결문, 결정문 등을 말하는 것- 집행권원의 종류 : 판결문..

부동산/경매 2024.10.09